24.12.28 16:46 l 최종 업데이트 24.12.29 10:24

제주도는 천혜의 환경과 뛰어난 자연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환경 보물섬'이다. 특히 제주의 바다는 보전가치가 높은 해양생태계와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자랑한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조간대(밀물 때 잠기고 썰물 때 노출되는 매우 민감한 생태계)와 연안 생태계는 건강한 해양환경을 조성하여 많은 어장을 제공하고 있다. 전 연안에 걸쳐 남방큰돌고래가 서식하고, 연산호 군락이 해역마다 넓게 분포하며, 연안습지를 중심으로 여러 철새도래지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해양 생태 현황에도 불구하고 여러 위협 요인이 증가하면서 제주 바다가 위기에 처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 가속화된 기후위기 속에서 일상화가 되어버린 이상기후는 제주 바다의 생태계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중략)
제주자연의벗 양수남 처장의 안내로 둘러본 제주 해양보호구역에서 화산섬 제주의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지닌 현장들과 겨울임에도 다양한 식물을 만날 수 있었다. 육지에서는 전혀 만날 수 없는 낯선 식물들이었다.
용암이 흘러 굳어 만들어진 지형과 그것들이 부서진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해안선과 그 척박한 환경에 자리를 잡아 살고 있는 식물들인 세미맹그로브라는 별칭의 황근과 돈나무, 사철나무, 순비기나무, 갯메꽃, 갯잔디, 갯국화, 우묵사스레피, 암대극 등을 만났다. 육지에선 볼 수 없고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식물들이었다.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이 독특한 지형과 이곳에 자리잡아 살고 있는 이 아름다운 생물들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해서도 해양보호구역은 더 확대되어야 한다. 이같은 노력들은 반드시 필요하고 또 시급하다. 왜냐하면 모든 생명의 근원인 우리의 바다가 건강성을 회복해야 지속가능한 지구환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장 안내를 맡은 제주자연의벗 양수남 사무처장은 함께 둘러본 두 곳의 식생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후략)
>>원문보기(클릭)
24.12.28 16:46 l 최종 업데이트 24.12.29 10:24
제주도는 천혜의 환경과 뛰어난 자연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환경 보물섬'이다. 특히 제주의 바다는 보전가치가 높은 해양생태계와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자랑한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조간대(밀물 때 잠기고 썰물 때 노출되는 매우 민감한 생태계)와 연안 생태계는 건강한 해양환경을 조성하여 많은 어장을 제공하고 있다. 전 연안에 걸쳐 남방큰돌고래가 서식하고, 연산호 군락이 해역마다 넓게 분포하며, 연안습지를 중심으로 여러 철새도래지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해양 생태 현황에도 불구하고 여러 위협 요인이 증가하면서 제주 바다가 위기에 처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 가속화된 기후위기 속에서 일상화가 되어버린 이상기후는 제주 바다의 생태계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중략)
제주자연의벗 양수남 처장의 안내로 둘러본 제주 해양보호구역에서 화산섬 제주의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지닌 현장들과 겨울임에도 다양한 식물을 만날 수 있었다. 육지에서는 전혀 만날 수 없는 낯선 식물들이었다.
용암이 흘러 굳어 만들어진 지형과 그것들이 부서진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해안선과 그 척박한 환경에 자리를 잡아 살고 있는 식물들인 세미맹그로브라는 별칭의 황근과 돈나무, 사철나무, 순비기나무, 갯메꽃, 갯잔디, 갯국화, 우묵사스레피, 암대극 등을 만났다. 육지에선 볼 수 없고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식물들이었다.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이 독특한 지형과 이곳에 자리잡아 살고 있는 이 아름다운 생물들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해서도 해양보호구역은 더 확대되어야 한다. 이같은 노력들은 반드시 필요하고 또 시급하다. 왜냐하면 모든 생명의 근원인 우리의 바다가 건강성을 회복해야 지속가능한 지구환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장 안내를 맡은 제주자연의벗 양수남 사무처장은 함께 둘러본 두 곳의 식생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후략)
>>원문보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