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에게 정책제안서 전달

사진1.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정책제안서 전달하는 오창길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선대본 위성곤 의원

사진2.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대표 4인,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에게 정책제안서 전달

사진3. 정책제안서를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위원에게 설명중인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공동대표단 오창길 대표
– 국회의원회관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위원실에서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보호 정책 제안 전달식 진행
– “2025 대선, 멸종위기종과 생물다양성을 위한 정책과 공약을 촉구한다”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지난 5월 7일(화) 오후 4시,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제22대 국회의원 위성곤 의원(서귀포시 지역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위원장)과 만나 대선 정책제안서 전달식을 진행했다.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삼중 지구위기(기후변화, 자연손실, 오염) 중 가장 심각한 생태위기에 대응하여, 멸종위기종 보호 및 생물다양성 강화를 주요 정치 아젠다로 끌어올리기 위해 결성된 연대체이다. 224개 다양한 환경·시민단체가 참여하여, 대선후보자들에게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정책을 제안하고, 사회적 인식을 확산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이날 전달식에는 오창길 사단법인 자연의벗 이사장을 비롯한 연대 대표단 4인이 참석해, ‘2025 대선은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대선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생태위기 시대를 돌파하기 위한 20대 정책과제를 설명하고, 향후 대선 공약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 위성곤 의원은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종 문제는 탄소중립을 넘어 기후정의의 핵심”이라며, “현재 당에는 기후, 에너지, 환경이 세분야로 다뤄지고 있지만 생물다양성도 정책위원으로 참여해 주신다면 좋을거 같고, 제안된 정책들을 당 내에서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연대는 정책제안서와 함께 정책질의서를 함께 전달하며, 질의서 응답률이 80% 이상 충족될 경우 정책협약식을 체결하자는 제안을 전했다. 이 협약은 대선 전후로도 실질적인 공동 정책 이행과 사회적 약속을 지속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도자료]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에게 정책제안서 전달
사진1.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정책제안서 전달하는 오창길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선대본 위성곤 의원
사진2.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대표 4인,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에게 정책제안서 전달
사진3. 정책제안서를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위원에게 설명중인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공동대표단 오창길 대표
– 국회의원회관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위원실에서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보호 정책 제안 전달식 진행
– “2025 대선, 멸종위기종과 생물다양성을 위한 정책과 공약을 촉구한다”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지난 5월 7일(화) 오후 4시,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제22대 국회의원 위성곤 의원(서귀포시 지역위원장,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위원장)과 만나 대선 정책제안서 전달식을 진행했다.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삼중 지구위기(기후변화, 자연손실, 오염) 중 가장 심각한 생태위기에 대응하여, 멸종위기종 보호 및 생물다양성 강화를 주요 정치 아젠다로 끌어올리기 위해 결성된 연대체이다. 224개 다양한 환경·시민단체가 참여하여, 대선후보자들에게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정책을 제안하고, 사회적 인식을 확산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이날 전달식에는 오창길 사단법인 자연의벗 이사장을 비롯한 연대 대표단 4인이 참석해, ‘2025 대선은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대선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생태위기 시대를 돌파하기 위한 20대 정책과제를 설명하고, 향후 대선 공약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 위성곤 의원은 “생물다양성과 멸종위기종 문제는 탄소중립을 넘어 기후정의의 핵심”이라며, “현재 당에는 기후, 에너지, 환경이 세분야로 다뤄지고 있지만 생물다양성도 정책위원으로 참여해 주신다면 좋을거 같고, 제안된 정책들을 당 내에서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연대는 정책제안서와 함께 정책질의서를 함께 전달하며, 질의서 응답률이 80% 이상 충족될 경우 정책협약식을 체결하자는 제안을 전했다. 이 협약은 대선 전후로도 실질적인 공동 정책 이행과 사회적 약속을 지속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