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대선은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대선으로!”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정책제안에 이재명·권영국 후보 '찬성'과 ‘조건부찬성’, 국민의힘은 '응답대기' 개혁신당은 ‘무응답’
□ 멸종위기종 보호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대선 핵심 의제로 제안하고 있는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 대선 후보자에게 전달한 정책제안서 및 20대 정책질의서에 대한 회신 결과를 5월 28일 공개했다. 그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대부분의 정책제안에 ‘찬성’ 또는 ‘조건부 찬성’ 의견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은 질의서 최종답변 7개 수용 13개 조건부 수용, 민주노동당은 정책질의서 답변 20개 수용인 반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답변을 제출하지 않거나 무응답으로 일관해 시민사회의 정책요구에 사실상 외면으로 응답했다.
□ 이번 정책제안은 총 227개 시민사회·환경단체가 함께 참여한 전국 단위의 연대 활동으로, 4월 21일부터 4월 26일(5일간) 접수받은 현장의 정책제안 95개 정책제안 중 정책위원회에서 선정한 20개 대표 정책제안을 가지고 5월 2일부터 6일까지 1554명의 국민이 투표하였다. 20개 대표 정책들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정책제안서를 만들었다. 이 정책제안서에는 기후위기 대응과 함께 생물다양성 보전, 멸종위기종 보호, 서식지 복원, 시민참여 강화 등 국가 정책 전환의 핵심 요구를 담은 20대 정책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4대강 보 철거를 통한 수생 생태계 회복 추진’,‘2030년까지 육상과 해양 각각 30% 보호지역 및 OECM 적극적인 추진’,‘멸종위기종 개체군 회복 정량 목표제(130%)’,‘도시 야생동물 공존전략 수립 및 서식지 복원 적극적 추진’,‘전국민 1인 1멸종위기종 지키기 시민활동 추진’ 5개가 있고 이 외 20개로 정책들로 구성되어 있다. 연대는 “정책 수용 여부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정책 협약 이후의 이행 의지와 협력 구조”라며 공약을 채택한 후보들이 정당 차원에서 정책협약식 체결과 공동이행 로드맵 구축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대선이후에도 멸종위기종 정책연대로 정책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며, 정책협약 내용을 바탕으로 선거 이후 정책 이행 평가와 시민 보고회, 간담회, 토론회 등 다양한 시민과 정당간 소통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이번 정책제안은 생물다양성 멸종위기종에 대한 주제를 핵심 주제로 끌어올리는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무국으로 있는 사단법인 자연의벗은 멸종위기종 관련한 다양한 사업을 다년간 진행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일반 시민들에게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보도자료
– “2025 대선은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대선으로!”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 정책제안에 이재명·권영국 후보 '찬성'과 ‘조건부찬성’, 국민의힘은 '응답대기' 개혁신당은 ‘무응답’
□ 멸종위기종 보호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대선 핵심 의제로 제안하고 있는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 대선 후보자에게 전달한 정책제안서 및 20대 정책질의서에 대한 회신 결과를 5월 28일 공개했다. 그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대부분의 정책제안에 ‘찬성’ 또는 ‘조건부 찬성’ 의견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은 질의서 최종답변 7개 수용 13개 조건부 수용, 민주노동당은 정책질의서 답변 20개 수용인 반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답변을 제출하지 않거나 무응답으로 일관해 시민사회의 정책요구에 사실상 외면으로 응답했다.
□ 이번 정책제안은 총 227개 시민사회·환경단체가 함께 참여한 전국 단위의 연대 활동으로, 4월 21일부터 4월 26일(5일간) 접수받은 현장의 정책제안 95개 정책제안 중 정책위원회에서 선정한 20개 대표 정책제안을 가지고 5월 2일부터 6일까지 1554명의 국민이 투표하였다. 20개 대표 정책들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정책제안서를 만들었다. 이 정책제안서에는 기후위기 대응과 함께 생물다양성 보전, 멸종위기종 보호, 서식지 복원, 시민참여 강화 등 국가 정책 전환의 핵심 요구를 담은 20대 정책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4대강 보 철거를 통한 수생 생태계 회복 추진’,‘2030년까지 육상과 해양 각각 30% 보호지역 및 OECM 적극적인 추진’,‘멸종위기종 개체군 회복 정량 목표제(130%)’,‘도시 야생동물 공존전략 수립 및 서식지 복원 적극적 추진’,‘전국민 1인 1멸종위기종 지키기 시민활동 추진’ 5개가 있고 이 외 20개로 정책들로 구성되어 있다. 연대는 “정책 수용 여부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정책 협약 이후의 이행 의지와 협력 구조”라며 공약을 채택한 후보들이 정당 차원에서 정책협약식 체결과 공동이행 로드맵 구축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 멸종위기종 대선정책연대는 대선이후에도 멸종위기종 정책연대로 정책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며, 정책협약 내용을 바탕으로 선거 이후 정책 이행 평가와 시민 보고회, 간담회, 토론회 등 다양한 시민과 정당간 소통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 이번 정책제안은 생물다양성 멸종위기종에 대한 주제를 핵심 주제로 끌어올리는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무국으로 있는 사단법인 자연의벗은 멸종위기종 관련한 다양한 사업을 다년간 진행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일반 시민들에게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보도자료